1 채점표는 경기의 설계도다
피겨스케이팅 경기 후 공개되는 채점표(Protocols)는 단순히 점수의 나열이 아니다. 이는 경기에서 어떤 기술이 수행되었고, 어떻게 평가되었는지를 정밀하게 보여주는 구조화된 분석 도구다. 관객이 경기 흐름을 이해하고, 선수와 코치가 전략을 재정비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다.
채점표는 크게 **기술요소(TES: Technical Element Score)**와 **프로그램 구성요소(PCS: Program Components Score)**로 나뉘며, 여기에 **감점(Deductions)**과 **총점(Total Segment Score)**이 추가되어 하나의 경기 점수를 완성한다.
2 기술요소(TES) – 수행한 기술과 GOE의 구조
기술요소 점수는 선수의 점프, 스핀, 스텝, 시퀀스 등 기술적 난도에 대한 평가다. 각 기술은 **기본 점수(Base Value)**와 **수행 점수(GOE: Grade of Execution)**로 구성된다.
기술요소 표 해석 구조 예시
3Lz (트리플 러츠) | 5.90 | +3.00 | 8.90 | 높은 질적 수행 |
FCSp4 (콤비네이션 스핀 Lv.4) | 3.50 | +1.10 | 4.60 | 최대 레벨 |
StSq3 (스텝 시퀀스 Lv.3) | 3.30 | 0.00 | 3.30 | 평균적 수행 |
GOE는 -5에서 +5까지의 범위로 심판 9인이 평가하며, 최고/최저를 제외한 평균값이 채택된다. GOE가 높게 부여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점프: 빠른 회전, 흐름 있는 착지, 음악과의 일치
- 스핀: 다양한 포지션, 정중심 회전, 속도 유지
- 스텝: 리듬감, 발의 다양성, 상체 사용의 적극성
GOE는 점수 상승의 핵심이다. 기술이 동일해도 +4를 받으면 50% 이상 점수가 증가할 수 있다.
3 레벨(Level) – 기술의 완성도 척도
스핀, 스텝 등 특정 기술에는 난이도를 나타내는 **레벨(Level 1~4)**이 존재한다. 레벨은 단순히 기술을 ‘성공’했느냐가 아니라, 어떤 구성 요소(feature)를 얼마나 충족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 스핀의 경우
- 다양한 자세 수행
- 중심 유지
- 회전 수 기준 충족
- 속도 변화 포함
이러한 기준을 충족할수록 더 높은 레벨을 받을 수 있으며, 기본 점수 자체가 높아짐에 따라 GOE 효과도 배가된다.
4 프로그램 구성요소(PCS) – 예술성과 표현력의 점수
PCS는 다음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각 10점 만점으로 심판들이 평가한다.
Skating Skills (SS) | 스케이팅 품질, 속도, 엣지 기술 |
Transitions (TR) | 요소 간 연결의 자연스러움과 복잡도 |
Performance (PE) | 표현력, 에너지, 감정의 전달 |
Composition (CO) | 프로그램 구성의 균형과 창의성 |
Interpretation (IN) | 음악 해석, 프레이징, 리듬 표현 |
심판은 각 항목에 점수를 부여하고, 그 평균값에 **가중치(factor)**를 곱하여 최종 PCS 점수를 산출한다. (프리: 1.62.0, 쇼트: 0.81.0)
PCS는 GOE와 달리 주관적 요소가 강하지만,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다:
- 음악과의 일체감
- 표현 동작의 다양성
- 구성과 점프 배치의 조화
- 선수의 개성 및 집중력
5 심판 약어와 기호 해설
채점표에는 다양한 약어와 기호가 사용된다. 이를 이해하면 실수의 원인, 가산점의 의미, 감점의 사유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다.
q | 쿼터 회전 부족 (under-rotation에 근접) |
< | 언더로테이션 (회전 1/4 이상 부족) |
<< | 완전한 회전 실패 (다운그레이드) |
e | 엣지 오류 (러츠 또는 플립 점프에서 방향 오류) |
! | 의심스러운 엣지 사용 |
* | 점프 반복 초과 |
-GOE | 수행 미흡 또는 실수 발생 |
x | 프로그램 후반 점프 (10% 보너스 적용) |
이러한 기호들은 경기 전략 설계 및 기술 수정에 핵심적인 참고 지표로 활용된다.
6 감점과 총점 구성
총점은 다음 방식으로 계산된다:
총점 = TES + PCS – Deductions
감점(Deductions)은 다음과 같은 사유로 발생한다:
- 넘어짐(fall): 1건당 -1.00점
- 시간 초과 또는 부족
- 점프 수 초과
- 불완전한 요소 수행
예시 채점표 요약:
TES | 45.80 |
PCS | 39.20 |
감점 | -1.00 |
총점 | 84.00 |
채점표를 해석하면 점수 구성의 논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팬의 관전 수준을 높이는 동시에,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전문적 분석 자료로서의 가치를 제공한다.
결론 – 채점표는 피겨의 언어다
채점표는 단순한 숫자 배열이 아니라, 선수가 펼친 프로그램의 기술적·예술적 결과를 구조화한 언어다. 이를 해석할 수 있으면 피겨 경기는 더 깊이 있게 다가온다. 기술 성공 여부, 예술적 설계, 경기 전략까지 모두 채점표에 압축되어 있으며, 팬과 해설자, 블로거 모두에게 필수적인 분석 도구다.
피겨를 진심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채점표를 읽는 능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그것은 곧 은반 위의 연기를 수치로 이해하고, 다시 예술로 되살리는 과정이다.
'피겨스케이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반 위의 심리전 – 피겨스케이팅에서 멘탈이 승부를 가르는 이유 (0) | 2025.04.16 |
---|---|
점프의 물리학 – 피겨 점프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의 비밀 (0) | 2025.04.16 |
ISU 채점 시스템의 진화 (0) | 2025.04.15 |
피겨 의상과 음악 선택의 심리와 전략 (0) | 2025.04.15 |
아이 성장 운동으로 ‘피겨스케이팅’이 최고의 선택인 이유 (0) | 2025.04.15 |
피겨스케이팅과 다이어트 효과 (0) | 2025.04.14 |
피겨스케이트와 체형 변화 – 성장기 선수들이 겪는 진짜 이야기 (0) | 2025.04.13 |
피겨스케이트 음악 규정과 전략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