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전 구분과 기술 등급 체계
피겨스케이팅은 단순히 ‘나이’로만 참가 대회를 결정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대한빙상경기연맹(KSU)이 정한 출전 등급 체계와 **기술 등급(1급, 2급, 무급 등)**을 동시에 충족해야 정식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이 체계는 선수 개인의 실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정 기술 수준을 테스트로 평가한 결과가 등급으로 부여된다. 피겨는 아름다운 스포츠지만, 그 안에는 매우 체계적인 기술 분류와 성장 구조가 존재한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적용되는 **출전 등급(노비스~시니어)**과 기술 등급(무급~1급, 특급) 체계를 통합해 설명하고, 실제 출전 기준과 조건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1. 피겨의 두 가지 등급 체계란?
피겨스케이팅에서 ‘등급’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출전 등급 | 나이와 실력에 따라 출전 가능한 대회를 구분 | 노비스, 주니어, 시니어 등 |
기술 등급 | 기술 테스트 통과 여부에 따라 등급 부여 | 무급, 3급, 2급, 1급, 특급 등 |
✅ 출전 가능 여부는 두 등급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2. 출전 등급 체계 (국내 기준)
✅ 대한빙상경기연맹(KSU) 출전 등급
초등부 | 만 6세~12세 | 기본기 중심 | 지역 대회 or 클럽대회 |
노비스 B | 만 10세 이하 | 싱글·더블 점프 구사 | KSU 테스트 기준 필요 |
노비스 A | 만 10~13세 | 더블~트리플 입문 | 회전·스핀 강화 |
주니어 | 만 13~18세 | 트리플 점프 필수 | 랭킹 대회/국가대표 선발 대상 |
시니어 | 만 15세 이상 (※국제: 2026부터 만 17세 이상) | 트리플~쿼드 가능 | 세계선수권/올림픽 등 참가 가능 |
📌 국내 대회는 연령만으로 출전 불가. 반드시 기술등급(아래 설명)도 통과해야 함.
3. 기술 등급 체계 – 무급부터 1급, 특급까지
✅ 대한빙상경기연맹 기술 등급 구분
무급 | 기술 테스트 미통과 | 클럽/생활체육 대회 가능, 공식 대회 불가 |
3급 | 초급 테스트 통과 | 노비스 B, 일부 전국대회 |
2급 | 중급 기술 기준 통과 | 노비스 A, 주니어 준비 단계 |
1급 | 고급 기술 (트리플 필수) | 주니어/시니어 랭킹 대회, 종합선수권 |
특급 | 국가대표급, 국제 기술요건 충족 | 세계선수권, 4대륙, ISU 시니어 대회 등 |
✅ 예를 들어, 주니어 랭킹 대회에 참가하려면 만 13세 이상 + 1급 통과 조건이 모두 필요하다.
4. 기술 등급 테스트 항목 예시
✅ 3급 테스트 항목 (예시)
- 싱글 점프 3종 (토룹, 살코, 루프)
- 콤비네이션 스핀
- 베이직 스텝 시퀀스
✅ 2급 테스트 항목
- 더블 점프 (토룹, 살코, 플립)
- 점프 조합 (2+2)
- 플라잉 스핀, 스텝 난이도 강화
✅ 1급 테스트 항목
- 트리플 점프 최소 2종
- 컴비네이션 점프 (3+2, 2+3)
- 고난도 스핀과 복합 스텝 시퀀스
✅ 테스트는 연맹 기술 심사위원 앞에서 현장 평가로 진행되며, 지정 기술을 실수 없이 수행해야 통과 가능.
5. 실전 예시 – 이 선수는 어느 대회 나갈 수 있을까?
예시 ①: 만 13세, 2급 보유
→ 노비스 A 전국대회, 주니어 생활체육 대회까지 가능
→ 주니어 랭킹 대회 참가 불가 (1급 미통과)
예시 ②: 만 15세, 1급 보유, 트리플 3종 가능
→ 주니어 랭킹 대회, 종합선수권 출전 가능
→ 기술 점수(TES) 충족 시 국제대회 신청 가능
예시 ③: 만 17세, 특급 통과, TES 기준 충족
→ 시니어 대회 출전 가능, 세계선수권/올림픽 등 국제 참가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초등학생인데 무급이면 못 나가나요?
👉 맞아. 공식 전국대회는 참가 불가. 생활체육 대회만 가능해.
Q. 기술등급 없이 출전하는 방법은 없나요?
👉 불가능해. 모든 정식 피겨 대회는 등급 테스트 통과가 필수야.
Q. 기술등급은 나이에 상관없나요?
👉 맞아. 기술 수준만 평가하기 때문에 나이와 관계없이 통과 가능하지만, 연령제한 있는 출전 등급은 별도로 고려해야 해.
🎯 결론 – 나이도 실력도, 기준이 있어야 무대에 선다
피겨스케이팅은 예술과 기술이 공존하는 종목이지만, 그 기반은 정확한 평가 기준과 등급 체계 위에 있다.
출전하려면 단순히 나이가 아닌, 기술 등급과 연령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이는 선수의 성장 경로를 명확히 구분짓는 도구다.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피겨 무대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 무대는 준비된 사람에게 열린다.
피겨의 세계는 ‘등급’을 통해 문이 열린다.
'피겨스케이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 사는 피겨스케이트, 이건 꼭 알고 사세요!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4.11 |
---|---|
얼음이 부드러우면 점프가 실패한다고? 피겨스케이팅 얼음 관리의 모든 것 (0) | 2025.04.10 |
아이가 피겨스케이팅을 배운다면? 선수가 아니어도 갈 수 있는 진로 6가지 (0) | 2025.04.10 |
아이 뇌 발달에도 좋은 피겨스케이팅? (0) | 2025.04.09 |
피겨스케이팅 입문 가이드 – 취미로 배우는 법 (0) | 2025.04.08 |
[2025 최신] 피겨스케이팅 연습장 어디서? 서울·경기·지방 아이스링크 총정리 (0) | 2025.04.07 |
피겨 의상의 숨겨진 과학 (0) | 2025.04.07 |
점프 완전 정복 (0) | 2025.04.04 |